자료실
의지보조기 관련지식
- 홈
- 자료실
- 의지보조기 관련지식
- 의지 알아보기
의지 알아보기

상지의지
1) 상지절단 부위에 따른 분류
- 수부절단
- 완관절이단
- 전완절단
- 주관절이단
- 상완절단
- 견관절이단
2) 상지의지의 종류
- 수동형 (passive)
주로 미관을 위해 착용하며, 구동형 의지를 조작할 만한 능력이 없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움직임은 없으나 양손을 사용하는 동작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 신체구동형 (body-powered)
남아있는 신체부위를 이용해 의지를 조작하는 형태로, 어깨나 팔꿈치 관절의 움직임과 손을 대신하는 말단부를 열고 닫는 등의 조작이 가능합니다. 기능면에서 효율이 좋으며 조작을 위해 충분한 근력과 관절움직임이 필요합니다.
- 외부전원형 (externally powered)
배터리 등 외부의 전력을 이용해 의지를 조작하는 형태로, 근육의 수축으로 전기모터를 활성화 시키는 근전동 의수가 많이 사용됩니다.
- 혼합형 (hybrid)
주로 미관을 위해 착용하며, 구동형 의지를 조작할 만한 능력이 없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움직임은 없으나 양손을 사용하는 동작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 신체구동형 (body-powered)
남아있는 신체부위를 이용해 의지를 조작하는 형태로, 어깨나 팔꿈치 관절의 움직임과 손을 대신하는 말단부를 열고 닫는 등의 조작이 가능합니다. 기능면에서 효율이 좋으며 조작을 위해 충분한 근력과 관절움직임이 필요합니다.
- 외부전원형 (externally powered)
배터리 등 외부의 전력을 이용해 의지를 조작하는 형태로, 근육의 수축으로 전기모터를 활성화 시키는 근전동 의수가 많이 사용됩니다.
- 혼합형 (hybrid)


하지의지
1) 하지절단 부위에 따른 분류
- 족부절단
- 발목관절이단
- 하퇴절단
- 슬관절이단
- 대퇴절단
- 고관절이단
2) 하지의지의 구성 및 종류
- 현가장치
의지와 착용자의 몸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실리콘 라이너, 음압, 핀 락, 벨트 등 다양한 형태의 현가장치가 있습니다. 현가장치가 느슨하면 의지를 조절하기가 어려워 보행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낙상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 소켓
절단지를 감싸는 부분입니다. 절단레벨에 따라 절단단의 상태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가 사용되나, 편안하게 잘 맞고 안전하게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공통되는 목적입니다. 소켓과 맞닿는 절단단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다양한 소재와 형태의 소켓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 슬관절
대퇴절단 환자의 보행에 있어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로 경첩과 같은 단순한 형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내장된 고사양 슬관절까지 매우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최근의 슬관절은 달리기, 자전거 타기, 수영까지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수준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슬관절의 선택은 절단단의 상태, 기저 질환, 환자의 기능과 생활양식 등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하며 의사, 의지보조기기사와 환자가 논의 후 판단해야 합니다.
- 의지발
여러가지 소재와 형태로 제작되며 관절이 없는 수동적인 형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내장된 고사양 의지발까지 다양한 제품이 있습니다. 환자마다 개별적인 상태에 맞는 의지발을 선택해야 하며 대퇴절단의 경우 슬관절과 의지발의 조화도 고려해야 합니다.
의지와 착용자의 몸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실리콘 라이너, 음압, 핀 락, 벨트 등 다양한 형태의 현가장치가 있습니다. 현가장치가 느슨하면 의지를 조절하기가 어려워 보행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낙상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 소켓
절단지를 감싸는 부분입니다. 절단레벨에 따라 절단단의 상태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가 사용되나, 편안하게 잘 맞고 안전하게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공통되는 목적입니다. 소켓과 맞닿는 절단단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다양한 소재와 형태의 소켓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대퇴절단 환자의 보행에 있어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로 경첩과 같은 단순한 형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내장된 고사양 슬관절까지 매우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최근의 슬관절은 달리기, 자전거 타기, 수영까지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수준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슬관절의 선택은 절단단의 상태, 기저 질환, 환자의 기능과 생활양식 등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하며 의사, 의지보조기기사와 환자가 논의 후 판단해야 합니다.
- 의지발
여러가지 소재와 형태로 제작되며 관절이 없는 수동적인 형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내장된 고사양 의지발까지 다양한 제품이 있습니다. 환자마다 개별적인 상태에 맞는 의지발을 선택해야 하며 대퇴절단의 경우 슬관절과 의지발의 조화도 고려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