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지보조기 관련지식

  1. 자료실
  2. 의지보조기 관련지식
  3. 보조기 알아보기

보조기 알아보기

상지보조기

1) 상지보조기 적용질환

- 골절, 염좌, 관절염, 건염, 건초염 등과 같은 근골격계 질환
- 뇌졸중, 뇌손상, 척수손상, 말초신경손상 등과 같은 신경계 질환
- 근골격계 수술 후
- 화상

2) 상지보조기의 목적

- 보호 : 손상된 신체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서 변형을 막을 수 있으며, 불안정한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회복을 촉진합니다.
- 교정 : 관절의 구축이나 탈구를 교정하는데 도움을 주며, 관절변형 예방에도 도움을 줍니다.
- 기능 보조 : 변형, 근 위약, 증가된 근 긴장도를 보상함으로써 기능을 보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3) 상지보조기의 분류

적용방법, 형태, 목적 등에 따른 다양한 분류체계가 있으며, 같은 보조기가 분류에 따라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보조기가 적용되는 부위에 따른 명칭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보조기

1) 하지보조기의 적용과 목적

근골격계 질환, 신경계 질환 등에서 보행 보조, 통증 감소, 체중부하 감소, 움직임 조절, 변형 예방 등을 위해 사용합니다. 서기와 걷기는 독립적 이동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부분으로 보행 장애를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하지보조기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2) 하지보조기의 종류

보조기가 적용되는 부위에 따라 짧은 다리 보조기, 긴 다리 보조기, 무릎관절 보조기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소재, 기능, 부품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신발과 깔창 등도 보행양상 변화 및 통증감소의 효과가 있으며 넓은 의미에서 하지보조기에 포함됩니다.

척추보조기

1) 척추보조기의 적용

- 마비가 있는 경우 자세보조 및 변형방지를 위해
- 척추 골절이나 척추 수술 후 안정화가 필요한 경우
- 염좌 후 척추 움직임 제한이 필요한 경우

2) 척추보조기의 기전

- 움직임의 제한
움직임의 제한은 보조기의 유연성에 따라 그 정도가 달라집니다. 부드러운 소재로 된 보조기의 경우 덜 움직이지도록 상기시켜주는 역할만 하기도 하고, 단단한 소재로 제한을 많이 하는 경우 굴곡, 신전, 측굴과 회전까지 모든 움직임을 제한하기도 합니다.

- 몸통 지지
복압을 높임으로써 몸통을 지지하게 됩니다. 흉복부의 압력이 증가하면 척추신전근과 척추에 가해지는 부하가 줄어들고, 디스크 내 압력도 감소합니다.

- 척추 정렬
삼점압 원리를 이용해 척추의 정렬을 바로잡습니다. 교정이 필요한 부위를 가운데에 두고 위,아래 쪽에서 반대 방향의 힘을 가하는 원리입니다.

위의 기전들을 통해 척추를 보호하고 인대와 근육에 가해지는 하중과 압박을 줄여, 통증을 경감시키고 변형을 예방합니다.